한의학 칼럼-“맥 좀 봐주세요”
한의학 칼럼-“맥 좀 봐주세요”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6.08.25 18:49
  • 15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종권/산청 동의본가 한의원 원장
 

김종권/산청 동의본가 한의원 원장-“맥 좀 봐주세요”


필자는 지리산 자락의 한옥집에 간판도 없이 진료를 보고 있는지라 도회지처럼 오다가다 한의원이 눈에 띄어서 오는 환자는 거의 없다. 어디가 아파서 아니면 기력이 없는 분들이 지인의 소개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신의 몸이 불편하여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고자 하는 분들은 비교적 자신의 과거력과 가족력 등을 소상히 밝힌다. 그런데 환자를 따라온 사람 또는 지리산에 관광 온 사람이 한의원에 우연히 들린 경우는 거의 ‘맥 좀 봐주세요’라고 말하며 팔목만 불쑥 내민다. 이런 경우는 필자가 친지 모임이나 사회 모임에 참가해서 한의사임을 밝혔을 때 종종 일어나기도 한다. 몸이 평소 안 좋아서 개선을 위해 그러는 사람도 있지만 내 몸 상태를 정말 맥만으로 맞출 수 있는지 호기심에서 그러는 사람이 반 이상이다.

드라마 ‘허준’ ‘대장금’의 영향이 이런 것일까? 그 단면을 들여다보면 수염이 성성한 한의사가 환자의 팔목에 손가락만 대고 그 사람의 과거력이 줄줄 읊어대니 환자는 탄복을 하며 살려달라고 매달린다. 이렇듯 언제부터서인지 모르겠지만 맥진(脈診)을 하는 것이 한의(韓醫)의 진찰을 대표하는 것처럼 되어 버렸다. 물론 한의사가 손가락으로 맥을 짚어서 병과 증상과 원인을 알아내는 것이 신기해 보이기도 하겠거니와 예전에 왕실의 왕비나 공주 등 여성의 몸에 어의(御醫)들이 손을 댈 수 없어서 실을 이어서 맥을 봤다는 이야기 등의 일화로 인해 신비하게 부풀려지는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사실 남녀의 구별이 엄격했던 조선시대 궁궐 내 여성의 진료는 태종 때 의녀(醫女)제도를 두어 어의를 대신해 신체 접촉이 필요한 진료를 맡게 하고 그 정보를 어의에게 알려주고 지시에 따라 시술도 하였다.

한의학에는 환자의 몸 상태를 알아내는 진단으로 ‘사진(四診)’이 있다. 말 그대로 ‘네 가지 진찰’인데, ‘망진(望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절진(切診)’이 그것이다.

망진은 말 그대로 보는 것이니, 환자의 거동이나 표정, 안색, 환부(患部)의 색택(色澤), 혀 등을 보면서 진찰을 하는 것이고 문진(聞診)은 환자의 목소리, 가래나 호흡, 심장소리, 여러 내장에서 나는 소리 등을 듣는 것과 환자의 체취, 땀, 대소변, 가래 등의 분비물의 냄새를 맡아서 하는 진료이다. 문진(問診)은 환자의 목소리가 힘찬지 끊어지는지 떨리는지 등을 살피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대화를 통해서 하는 진료이다. 의사가 직접 관찰할 수 없는 과거의 일이나 병의 진행, 일상생활 등에서 일어나는 각종 일들을 물어서 진료하는 것이다. 현재 많은 한의원에서 행해지는 진찰은 사실상 이 물어보는 문진이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절진은 환자의 몸에 손을 대는 모든 진찰을 뜻하는데, 배를 만져 보는 복진(腹診)이나 환부를 만지거나 눌러보고 긁어보는 등의 행위 등과 맥을 짚어보는 것도 이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사진은 앞에 나열한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편인데 먼저 환자가 진찰실로 들어오면서 바로 망진이 시작되고 환자와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문진(聞診)이 시작되며 의사가 세세하게 따져 물으면서 문진(問診)을 하게 된다. 이렇게 진행을 하면서 중간중간 환부를 만지거나 하면서 절진을 하지만 맥을 짚는 맥진은 통상적으로 마지막에 하면서 앞에서 시행한 여러 진찰들과 증상들이 잘 부합되는지, 진찰 중에 놓치거나 환자가 말하지 않은 것은 없는지 마지막으로 진단 확인의 도장을 찍는 과정이기도 하다.

한의사가 사진을 통해서 환자를 이렇듯 세세하게 살피는 것은 몸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확보하여 병을 치료하기 위함이다. ‘척보면 압니다’라는 유행어처럼 내 병을 맞춰보라든지, 아니면 맥만 보고 알아맞히는 용한 의사라는 식으로 의료를 신비화하는 것은 결국은 환자에게 그 피해가 돌아가기 때문에 경계해야 한다. 의료는 건강과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가는 심정으로 의사와 환자가 진단에 임한다면 병은 이미 반은 치료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