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난 허덕' 지방대학 기부금 활성화 절실
'재정난 허덕' 지방대학 기부금 활성화 절실
  • 윤다정 수습기자
  • 승인 2017.07.19 17:58
  • 3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대부분 전문대 연간 100만 원 넘기지 못해

등록금 인하·지역민 위한 강좌 개설 꿈도 못꿔

법·제도적 정비와 함께 기부문화 캠페인 필요


경남을 비롯한 지방대학의 기부금이 쥐꼬리 수준에 불과해 지방대학의 교육여건이 위축되고 학생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부금이 많은 대학일수록 교육 투자, 시설 확충 등의 교육 여건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대학의 탄탄한 재정은 높은 등록금과 정원 감축을 막는 기본 조건이며, 지역민들을 위한 강좌 개설도 가능하게 해 지역교육에 도움을 준다.

대학 기부금은 등록금, 국고보조금, 법인전입금과 함께 사립대학의 주요 수입 재원으로 대학 내외의 개인, 기업, 기관·단체 등이 대가 없이 자발적으로 대학에 기증하는 돈이다.

‘대학알리미’의 ‘기부금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도내 전문대학의 기부금은 거제대학교가 20만 5390원, 김해대학교는 11만 7600원, 동원과학기술대학교는 15만 1609원, 마산대학교는 33만 9318원, 연암공과대학교는 104만 1641원, 진주보건대학교는 21만 2542원에 그쳤다. 또 창원문성대학교는 23만 2454원, 한국승강기대학교는 133만 3342원, 한국폴리텍 Ⅶ 대학 창원캠퍼스는 14만 6030원, 한국폴리텍 특성화대학 항공 캠퍼스는 1만 298원으로 집계됐다.

대학교육연구소가 조사한 ‘2011~2015년 사립대학 지역별 기부금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15년 ‘서울’ 기부금은 2252억 원으로 총 기부금의 58.9%를 차지한다. 이는 ‘서울 외’(439억 원, 11.5%)의 5배나 된다.

이러한 ‘서울’ 편중 현상은 부동의 1위다. 2011년 ‘서울’은 총 기부금의 54.8%(2244억 원)를 차지했으며, 2013년에는 62.9%(2385억 원)까지 차지했다. 이후에는 2.7%가 감소했지만 여전히 1위였으며, 2015년에도 60%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다.

기부자별 기부금 역시 ‘서울’에 치우쳐 있다. 2015년 기업체 기부금 1237억 원 중 63.8%인 789억 원이 ‘서울’에 기부됐다. 또한 단체 및 기관 기부금은 57.1%, 개인 기부금은 57.4%로‘서울’에 기부됐다. 나머지 지역에는 각 기부자별 기부금이 10%대에 그쳤다. 기업, 단체 및 기관, 개인 모두 ‘서울’에 집중 기부하고 있는 것이다.

기부금 쏠림 현상과 더불어 기부금에 대한 법·제도적 미비와 기부문화 비활성화로 우리나라의 기부금 규모는 매우 작다. 앞서의 요인들이 각 지역 대학 경제를 위축시키고 있다.

대학의 등록금 의존 정도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대학의 기부금 수입은 줄고 있다. 이에 따라 경남을 비롯한 지방대 학생들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윤다정 수습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