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세계사를 뒤 흔든 소금(Ⅴ)
칼럼-세계사를 뒤 흔든 소금(Ⅴ)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8.12.17 18:57
  • 15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익/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겸임교수

전경익/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겸임교수-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秦始皇)은 소금교역으로 군대를 양성하고 무기를 표준화해 대량생산했다. 그는 소금과 철의 전매수입으로 통일 자금을 비축해 마침내 통일에 성공한다. 그는 통일 후에도 소금과 철을 독점해 이전 시대에 비해 스무 배의 이윤을 남겼다. 그것을 바탕으로 통일 중국의 도로망 확대는 물론 만리장성과 아방궁 등 대대적인 건설 사업을 추진할 수 있었다. 또 사마천(司馬遷)은 ‘기원전 154년 오나라의 왕 유비(劉備)도 동전을 대량으로 주조하고 바닷물을 끊여 소금을 생산해 백성들에게 세금을 걷지 않고 거대한 부와 번영을 누렸다’고 쓰고 있다.

기원전 119년에는 한 무제가 철, 술과 함께 소금을 전매품으로 묵었다. 한 무제는 소금 행정인인 ‘염정(鹽政)’과 함께 소금을 만드는 철제 도구들을 국가의 관리하에 두어 바닥난 국고를 보충하고 강력한 제국을 이루었다. 소금 염(鹽)이라는 한자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 왼쪽 윗부분은 신하, 오른쪽 윗부분은 소금물, 그리고 아래는 그릇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결국 소금은 국가에서 관리한다는 걸 보여주는 글자이기도 하다. 서기 208년 중국에서는 조조(曹操), 손권(孫權), 유비(劉備)가 자웅을 겨루는 삼국시대가 시작된다. 이 가운데 유비의 촉나라는 대부분이 산간 지역이고 인구도 적어 다른 두 나라에 비해 불리했다. 더구나 바다에 접하지 않아 소금을 구할 수 없었다. 북으로는 조조의 위나라가, 동으로는 오나라의 손권이 막고 있었고 남쪽은 베트남 밀림이었다. 소금을 구하지 않으면 사람이 살 수 없는 법. 대책을 마련해야 했다. 이때 촉나라 사람들이 착안한 방법은 지하 염수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땅속을 깊이 파면 지하수가 나오고 더 깊이 파면 염수층이 나온다는 데 착안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염수층까지는 지하로 1Km이상을 파 내려가야 했다. 이미 중국은 기원전 4세기경부터 제철업 발달로 다양한 도구를 사용해 시추술(試錐術)로 염수를 끌어올려 큰 솥에 끓여 소금을 만드는 기술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때 석유와 천연가스도 발견하게 되어 이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당나라에 이르러서는 ‘다단계 천일제염법’이 개발되어 순도 95% 이상의 소금이 대량생산되었다. 이렇듯 중국에서는 소금이 역사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한 흔적이 도처에 언급되어 있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의 소금 역사를 보면…서해 갯벌은 생명체들의 보고이다. 세계 5대 갯벌 지역은 미국 동부, 캐나다 동부, 아마존 강 하부, 북해 연안 그리고 우리의 서해다. 이 중에서 생물 다양성 측면으로 보면 우리 서해가 단연 돋보인다. 갯벌은 소금의 생산기지이다. 염전을 한글로 풀면 ‘바닷가의 소금밭’이라는 뜻이다. 옛날에는 지금과 같은 다단계 염전에 의한 완전한 천일염은 생산하지 못하고 갯벌에서 증발시킨 소금물을 마지막에 토기나 솥에 넣고 끓여서 소금을 생산했다. 주로 강 하류와 바다가 만나는 곳에 그런 곳이 많았다. 대부분의 고대 문명이 강 하류에서 발달한 이유다.

소금이라는 말 자체는 귀하다는 뜻으로 ‘작은 금’, 소금(小金)에서 유래했다. 한반도 소금의 수요는 중국 대륙은 물론 대양과 긴 사막을 가로지르는 무역로를 만들기도 했으며 중국에서는 소금을 틀에 넣어 굳혀 동전처럼 만든 후 황제의 문양을 새겨 화폐(염화)로 이용하기도 했다. 소금이 바로 돈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보면 서해안, 남해안을 중심으로 소금 생산이 활발했다는 기록이 있다. 즉 리아스식 해안인 서해안과 남해안은 조석 간만의 차를 이용했다. 해안가에 작은 둑을 만들어 물을 가두고 그것을 자연 증발시켜 소금을 얻었다. 바로 순수한 천일염을 생산한 것이다. 소금 염(鹽)자가 들어간 동네는 소금과 관계가 있었다. 예를 들면 마포구 염리동·염창동이다. 즉 이곳은 소금배가 들어와 소금거래가 활발했던 곳이기도 하다. 세상이 많이 변해 소금이 권력이요, 부(富) 자체여서 소금을 얻기 위해 전쟁도 불사했던 인류사를 떠올려 보면 오늘날 우리는 정말 소금 귀한 줄 모르고 살고 있다. 소금의 역사에 대하여 5회에 걸쳐 살펴보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