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특구,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 기대
강소특구,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 기대
  • 노수윤기자
  • 승인 2019.06.19 18:24
  • 3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기술 개발·사업화 촉진 시 경남 산업 견인에 한 몫
▲ 경남항공 국가산업단지 진주지구 조감도

기계, 조선업 등 주력산업의 침체와 경기부진으로 경남의 산업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창원과 진주, 김해가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돼 지역산업 구조 구도화 촉진과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


특히 연구기관이 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사업화를 촉진할 경우 경남 산업 활성화 견인에 단단히 한몫을 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창원과 진주, 김해를 포함한 전국 6개 지역을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했다.

경남도는 지난해부터 일찌감치 창원과 진주, 김해, 양산 등 4개 지역을 선정해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절차에 나섰고 양산을 제외한 3개 지역이 지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김재경 의원(진주시을)은 2017년 10월 과기부와 연구개발특구재단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 시 기존의 특구제도의 개선을 위해 특구지정 요건을 완화하고 소규모 특구를 활성화하는 강소혁신클러스터 모데 도입을 촉구하기도 했다. 과기부는 2017년 12월 강소연구개발특구 도입을 확정했다.

이번에 특구로 지정 결정된 창원의 경우 한국전기연구원(KERI)을 중심으로 창원국가산업단지(1.26㎢)·창원국가산업단지확장구역(0.44㎢)·불모산저수지 인근 부지(0.14㎢) 둥 모두 1.84㎢의 배후공간을 지능전기기반 기계융합산업 특구로 육성한다. 부지는 창원국가산업단지확장구역이다.

KERI는 강소연구개발특구 선정에 필요한 5가지 핵심 정량요건(연구개발 인력, 기술이전, 연구개발 투자비, 기술이전액, 특허출원)을 모두 충족하며 최근 3년간 경남에서 대기업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지역거점 연구기관이다.

창원은 경남 특허 출원의 약 37%를 점유한 R&D 중심 지역으로, 대덕특구 외에 2개의 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한국전기연구원, 재료연구소)을 보유한 유일한 지방 도시다.

창원시는 지역이 특구로 지정 결정됨에 따라 앞으로 KERI를 중심으로 전기 기반 R&D 특화 기술과 기계 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경제 부흥을 위한 신성장 동력 발굴에 집중한다.

최근 조선·중공업·자동차 등 주력산업이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만큼 스마트 산단 등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한 제조업 혁신을 추진하고 로봇·에너지·의료기기·나노기술 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첨단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한다는 목표다.

진주는 경상대학교를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용지(0.22㎢)·항공국가산단(0.82㎢)·정촌뿌리산단(0.96㎢) 등 2.0㎢의 배후공간을 항공우주부품·소재산업특구로 만든다. 부지는 혁신클러스터용지, 항공국가산단 등이다.

진주는 국내 최대의 항공산업 집적지라는 지리적 특성을 감안해 우주항공부품·소재산업 특화가 용이하며 앞으로 특구가 조성되면 새로운 산업생태계가 마련돼 지역발전과 세계적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재경 의원은 “진주 강소특구는 R&D융합지구, 기술사업화지구 등으로 구성되며 5년간 257개 기업집적 효과 및 1조2100억원의 매출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역경제 측면에서도 부가가치 유발 효과 1207억원, 고용 유발 효과 1336명, 생산 유발 효과 2627억원도 기대하고 있다.

김해는 인제대학교(0.28㎢)를 중심으로 의생명센터(0.4㎢)·서김해일반산단(0.44㎢) 등 모두 1.12㎢의 배후공간을 의생명·의료기기산업특구로 조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동남권 의생명·의료기기 R&D 허브로 육성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특히 의생명 특구 지정 결정으로 김해는 산업, 도시 브랜드 가치를 한층 높일 수 있고 전국 의생명 4대(오송, 대구, 원주, 김해) 거점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기반을 마련했다고 보고 있다.

특구 육성을 위한 기반구축 사업으로 서김해산단 내에 강소연구복합연구센터를 건립하고 골든루트산단 내는 건립 중인 메디컬디바이스 실용화센터를 활용해 연구센터도 설립한다. 앞으로 100개 기업 창업과 370개 일자리 창출, 6500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창원 등 3개 지역의 특구는 기존 R&D 특구처럼 세금 면제와 개발 부담금 감면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정부 지원을 통해 각종 인력양성, 기술개발 사업화, 융·복합 생태계 조성 등도 이뤄진다.

천성봉 도 산업혁신국장은 “강소특구 3개 지역 지정은 지역산업혁신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다”며 “강소특구가 제조업 혁신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다시 뛰는 경남경제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노수윤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