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열며-무지와 오만(13)
아침을 열며-무지와 오만(13)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9.08.11 17:36
  • 14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수정/창원대 교수·현 베이징사범대 방문교수
이수정/창원대 교수·현 베이징사범대 방문교수-무지와 오만(13)

돌이켜보니 나는 1980년대의 일본을 살아봤고, 90년대의 유럽을 살아봤고, 2000년대의 미국을 살아봤고, 지금 2010년대의 중국을 살아보고 있는 중이다. 제가끔 좋은 장면들이 너무나도 많았다. 그러나 인간세상이란 게 당연히 그렇지만 어디든 좋은 면만이 있는 건 아니다. (또 변하기도 한다.) 내가 살아본 이 선진국들 그리고 대국들에도 나쁜 면이 없지 않았다. 물론 ‘나’의 입장에서 나쁘게 느껴진 면들이다.

도쿄에서 살 때, 많은 재일교포 분들과 인연을 가졌었다. 그런데 그중 적지 않은 분들이 귀화해 일본국적을 갖고 있었다. 사이가 깊어진 후 사정이야기를 들어보니 알게 모르게 존재하는 ‘자이니치(재일)’에 대한 차별이 있었고 그게 힘들었다는 것이다. 요즘은 그게 공공연한 ‘혐한’으로까지 발전해 있다.

프라이부르크에서 살 때, 실제로 당한 이야기다. 거리를 걸어가고 있었는데 어떤 스킨헤드의 청년이 다가오더니 느닷없이 나를 향해 “외국인 꺼져라!”(Auslaender raus!) 하고 소리를 지르는 것이었다.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위해를 가하지는 않고 곧바로 총총걸음으로 사라졌다. 그가 걸친 가죽점퍼의 어깨에는 나치의 ‘하켄크로이츠’가 그려져 있었다. 이른바 ‘네오나치’였을 것이다.

보스턴에서 살 때, 그 유명한 보스턴 폭탄 테러를 직접 경험했다. 직접 당한 것은 아니지만 바로 그날 그 사건의 아주 가까이에 있었고 그 사건 이후 도주한 범인이 체포되기까지 계엄령 같은 분위기 속에서 며칠을 긴장한 채 보냈었다. 결국은 아랍계에 대한 차별이 화근이었다. 흑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에 대한 차별은 일상다반사였다.
지금 베이징에서 지내며 아직은 그런 일들을 겪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문제를 둘러싼 공방에서 이쪽 정부 고위직 인사들의 태도나 관련기사의 댓글을 보면, 그리고 한국관련 뉴스의 반응들을 보면, 한국에 대한 노골적인 비하나 중화주의적 오만이 드러난다. 심지어 중국에게 뒤집어씌우지 말고 너희나 잘하라며 ‘까오리 빵즈’(高丽棒子: ‘짱깨’, ‘쪽발이’처럼 한국인에 대한 비하 표현)같은 욕도 서슴지 않는다.

나는 이런 태도들이 그들의 우월함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못남을 보여주며, 그리하여 그 나라의 격을 심하게 떨어뜨린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그 사실을 전혀 모른다. 모르니까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그런 짓을 하는 것이다. 그런 짓을 하는 ‘그들’의 태도에는 오만이 깔려 있다. 그들에게는 ‘나와 너’의 관계가 기본적으로 상하관계다. 나는 잘났고 너는 못났다. 그래서 상대를 깔본다. 그게 오만의 본질인 것이다. (‘잘남’이 없는 ‘잘난 체’) 그런 오만한 자들에게는 ‘잘남’과 ‘못남’에 대한, ‘나’에 대한 그리고 ‘너’에 대한, 이해 내지 인식이 결여돼 있다. 간단히 말해 가치에 대해 무지한 것이다.

이 무지에 기반한 오만이 온갖 위험을 초래한다. 철인 소크라테스를 죽음으로 내몬 저 아테네의 정치가・기술자・문인들의 그룹이 그 좋은 사례다. 무엇이 좋고 나쁜지 잘나고 못난 건지 알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차별의 대상이 어떤 인간인지에 대한 이해도 없고 무엇보다 자신이 어떤 인간인지에 대한 이해도 없다. 그들은 자신이 속한 기득권적 그룹(야마토, 아리안, 백인, 중화)에 적당히 묻어서, 상대가 어떤 존재인지 전혀 모르면서 함부로 비하하는 것이다.

인간관계에서, 그리고 국제관계에서, 이런 자기설정과 상대설정이 그 관계의 질을, 즉 좋고나쁨을 결정한다. 그것은 윤리적인 것이고 따라서 그 설정 자체가 가치행위에 해당한다.

물론 한국관련 기사에 악의적인 댓글을 다는 그런 사람들을 가지고 ‘중국인’을 논할 수는 없다. 중국에 아주 오래 산 지인 한분이 말했다. “‘중국인은…’ 하고 말하는 것은 애당초 불가능합니다. 인구가 14억이고 지방에 따라 역사도 기질도 다 다릅니다. 한 성이 그냥 한 나라라고 봐야 합니다. 그런데 고약한 몇 사람이 하는 말과 행동을 보고 어떻게 ‘중국’을 판단하겠습니까” 지당하신 말씀이라고 느꼈다. 그건 아마도 저 일본과 미국과 유럽인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나도 겪어봤지만 그 나라들에도 너무나 많은 ‘좋은’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그런 그들이 그 나라의 품격을 유지해주고 있었다. 여기서 내가 알게 된, 진선생, 장선생, 우선생, 왕여사, 린소저도, 창선생, 쉬선생, 두소저도 다 그런 사람들이다. 우리 한국도 아마 대부분은 그런 사람들일 것이다. 그런 좋은, 훌륭한 한국인들의 얼굴이 무수히 많이 떠오른다. 그들은 결코 ‘까오리 빵즈’가 아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