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지긋지긋한 코막힘! 겨울에 더 괴로운 ‘부비동염’
건강칼럼-지긋지긋한 코막힘! 겨울에 더 괴로운 ‘부비동염’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20.01.02 16:29
  • 14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영진/경상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전영진/경상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지긋지긋한 코막힘! 겨울에 더 괴로운 ‘부비동염’


코는 일반적으로 ‘비강’과 비강 둘레에 있는 공간인 ‘부비동’으로 구성된다. 부비동은 각 개구부를 통하여 비강 내로 교통하여 지속적인 섬모 운동으로 분비물을 배액하고 가스교환을 통해 환기를 이루어진다. 정상 부비동의 생리에 관여하는 중요한 세 가지 요소로 자연개구부의 개폐 여부, 섬모의 기능, 분비물의 성상이 있다. 그 중에서도 비강으로 통하는 자연개구부의 폐쇄가 부비동염 발생에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된다. 여러가지 원인으로 자연개구부가 막히면 부비동 점막의 부종으로 인해 부비동 내에 분비물이 고이게 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부비동염’이라고 하며, 우리가 흔히 말하는 ‘축농증’과 같은 말이다.

부비동염은 알레르기 상태가 선행 된 후이거나 흔히 말하는 감기 즉, 바이러스 감염 발생 이후에 이차적으로 세균감염이 속발하여 농(고름)이 발생한다. 또한 부비동 점막의 부종을 일으켜 자연개구부의 협착이나 폐쇄를 조장하여 부비동 내의 산소분압(농도)을 저하시킴으로써 혐기성 세균 번식이 증가하거나 섬모 운동에 의한 배출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 외에 미세 먼지나 담배 등의 화학적인 자극 물질의 노출, 수영 중 오염된 물의 유입, 치아 감염, 외상, 선천적인 해부학적 구조의 기상 등으로 부비동의 배액과 환기가 제한되어 부비동염이 발생할 수 있다. 영양결핍, 당뇨, 혈액질환 등의 전신 질환에 의한 경우도 있다.

부비동염의 증상으로는 코막힘, 지속적인 누런 콧물, 코 뒤로 넘어가는 콧물, 안면 및 침범된 부비동 부위의 동통과 압통, 더 진행하면 후각 감퇴를 호소하게 된다. 전신적으로 두통, 발열이나 권태감 등이 동반되기도 하고 안구 주변이 부비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안구통이나 안와 주위 부종이 나타날 수 도 있다. 한편 귀나 목에도 영향을 미쳐 중이염이나 후두염,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이 합병되기도 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감기 증상이 지속되면서 특징적으로 저녁에 심해지는 기침이 나타날 수 있다.

환자의 증상과 병력은 부비동염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서이다.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시행되는 비강 내시경 검사에서 화농성 또는 점액성 분비물의 저류, 점막 부종 또는 충혈, 또는 물혹이 관찰된다. 필요한 경우, 단순 방사선(엑스레이) 검사, 부비동 컴퓨터 단층촬영(CT) 등을 통하여 부비동의 상태 및 병변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향후 수술을 고려할 때, 부비동 점막의 병변과 부비동의 해부학적 구조를 잘 보여주어 중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부비동염 치료의 세가지 원칙은 첫째, 정확한 항생제를 충분한 기간 투여하고, 둘째, 자연개구부를 통한 부비동의 배액과 환기를 유도하고, 셋째, 부비동염 발병 원인을 교정하여 개선하는 것이다. 12주를 기준으로 급성과 만성 부비동염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급성 부비동염은 대개 이환 기간이 4주 이내로 후유증이 남지 않고 약물요법으로 완전 회복이 가능하다. 약물요법으로는 항생제, 혈관수축제 및 필요에 따라 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등을 사용하게 된다. 약물요법에 잘 듣지 않는 경우 배농과 미생물학적 검사를 위해 상악동 천자 및 비강 세척법을 시행하게 된다.

하지만 만성 부비동염은 염증 과정이 비가역적이어서 일반적으로 약물요법에 반응하지 않아 수술적인 치료를 요하게 된다. 근래에는 내시경 수술이 발달되면서 일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비동염은 내시경 수술을 한다. 종래의 방법으로는 잘 보이지 않던 비강 내부를 자세하게 들여다보면서 수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상대학교병원에서는 내비게이션 장비를 도입하여 무탐침 정위기법으로 수술 중에 실시간으로 정밀한 해부학적 위치를 확인하면서 수술을 시행한다. 소아의 만성 부비동염의 경우 실제적으로 부비동염을 호전 시킨다는 보고들이 있고 아데노이드가 부비동염 세균의 번식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