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경남 교육도시 진주의 자존심, 지도층 인사의 힘이 필요하다
칼럼-경남 교육도시 진주의 자존심, 지도층 인사의 힘이 필요하다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20.09.07 16:21
  • 14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규홍/김동리 다솔문학 협회 회장ㆍ시인ㆍ작가
황규홍/김동리 다솔문학 협회 회장ㆍ시인ㆍ작가-경남 교육도시 진주의 자존심, 지도층 인사의 힘이 필요하다

과기대 총장의 ‘과기대·경상대 합병문제와 방통대 부지문제 해결, 반대 주장에 대해’ ‘철이 없다’는 유력 인사와 시민의 말에 대해 “그렇게 생각이 든다”고 답했다. 김 총장이 언론의 홍보 보도를 통해 국립대학이 없어지는 데도 “괜찮다”는 의도는 이해가 안 된다. 다른 도에는(나주 한전공대) 국립대학을 유치하려고 힘을 세우는데 유독 교육도시 진주 ‘교육특구’를 지정하는데 앞장서지는 못할망정 선배들이 어렵게 유치한 100년 전통 있는 대학을 사라지는 것에 앞장선다면 그 사람이 진주 사람이 맞냐? 정치에 아부하는 것은 아닌지? ‘철’을 따지기에 앞서 무책임한 발언과 행동인 것은 사실이다.

박노해 시인은 ‘세상에서 가장 괴롭고 비참한 자는 길을 잃어버린 자다. 우리에게 사라진 그 원형질을 품고 돌아 나와 진보한 오늘의 우리 안에서 새로이 살려내는 여명의 길 하나 찾고 싶었다’ 고했다. (박노해 사진 에세이 ‘길’)

책을 읽고 있으면 ‘두 대학의 합병과, 방송통신대의 문제’는 길을 잃은 자는 엇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총장은 교수·학생·동문들의 구성원들이 통제력을 잃고, 총장 자신도 제대로 동기부여와 의사 결정을 해 주지 못하는 느낌이다. 실수하더라도 잘 못을 인정하는 용기가 품위 있는 마음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를 비교분석을 해 보면 과학기술대학(김남경 총장) 주장은 (舊)법원 검찰청부지(약3400평)에서 양등분(과기대 1700평, 방통대 1700평으로)하고 (現)방송통신대경남지역대학(약800평)을 사용할 수 있도록 양도 요구하고 있다. 방송통신대본대 (류수노 총장)주장을 살펴보면 과기대 요구사항(舊, 법원 검찰부지 3400평의 양등분 각의 1700평)은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방송통신대 경남지역대학부지 사용권은 양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추진위 과기대의 양등분 주장은 수용불가, 경남지역대 사용권 양도 수용 못함) ▲방통대 경남지역대학 이전추진위 주장은 과기대에 (舊)법원, 검찰(약3400평) 중 검찰부지(약450여평) 제외한 약2900평을 경남지역대가 이전할 수 있도록 협조희망하고 있다. 과기대의 경남지역대학사용권과 (舊)법원, 검찰부지(약3400평)의 양등분 요구는 수용할 수 없음. ▲과기대가 (舊)법원, 검찰청부지(약3400평)중 일부의 검찰부지(약450평)사용권한을 방송대 본대에 승계하고, 방송대 본대는 과기대에 (現)주약동소재 경남지역대학(약800평)사용권을 승계 하는 방안. 과기대가 (舊)검찰부지(약450평)사용권을 본대방송대와 협력하여 지하1층, 지상 5층을 신축하여, 과기대가 신축건물 5층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협치를 요청함. ▲과기대는 추진위의 위 3항에 대하여 적극적인 협의를 촉구한다. 그 이유는 과기대가 (舊)법원, 검찰부지 전체에 대한 어떤 권한도 없으면서, 권한 형세의 횡포를 삼가야 한다. 과기대 취업센터(검찰부지)준설은 대학의 부속건물이고, 방송통신대 지역대 이전계획은 교육의 본질인 3400여명의 배움의 전당 조성사업인데, 전체부지에 양 등분 주장은 염치없는 고집이다. 이쯤 되면 국회의원과 진주시장 등 지도층 인사들이 발 벗고 나서야 한다. 이른바 다 된 밥이나 마찬가지인 상황에서 교육도시 진주의 자존심을 빼앗길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창원과 진주라는 두 도시의 팽팽한 줄다리기가 겨루지는 곳이 교육 부분이다.

특히 진주시민들은 엄청난 자존심이 걸려있는 일종의 게임으로 이해하고 있다. 무엇보다 낙후된 서부 경남과 그 수부 도시 진주가 그래도 버텨왔던 것이 경남의 교육도시라는 자존심이 있었던 덕분이다. 이 단서에는 여차하면 경남지역대의 분관이 창원학습관을 신축하면서 지역대학을 창원으로 통합 이전할 수도 있다는 항의가 담겨 있다. 창원학습관 역시 시설이 오래되고 연약지반이 내려앉으면서 건축물의 안전성 검토에서 위험 등급으로 분류돼 신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국 방송통신대학은 우리나라 진주 교육도시의 관점에서도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한다. 경남과기대·경상대 통합 중단도 해야 되지만, 방송통신대도 백년대계를 내다보며 대학의 구성원들과 교육문화도시 진주시민이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다. 방송통신대학의 공익성에 비중을 두고 판단해야 한다. 40년여 년 전 진주의 향토기업 대동공업을 대구로 빼앗기고 난 뒤 진주시민들은 때늦은 후회를 했다.

시장을 원망하는 사람과 지도층의 힘을 원망하는 시민들도 많았다. 그러나 때는 버스 떠난 뒤에 손 흔드는 식이다. 진주와 서부 경남의 경제를 50% 지탱하고 있던 터라 자책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당시 철저한 반성과 대안 찾기를 위한 의견수렴은커녕 서로 책임 떠넘기기에 혈안이었다. 당시 진주발전에 걸림돌이라는 의미로 ‘진주 5적’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방송통신대 문제와 과기대·경상대 합병도 문제 그 복판이다. 또다시 ‘신 5적’을 만들거나 ‘신 5적’에 포함되지 않기 위해서는 지도층 인사들의 어깨가 대단히 무겁다는 점을 환기시키고자 한다. 너무 늦지 않게 서둘러 나서달라는 주문을 하는 이유다. 이에 앞서 지난해 상반기에 방송통신대 본부와 교육부는 (舊)법원과 검찰청부지로 방송통신대 경남지역대를 이전 신축하기로 결정하고, 창업보육센터부지로 사용하겠다며 먼저 승낙을 받은 경남과기대의 동의를 조건으로 제시했다. 그것도 올해 말까지로 한정했다. 과학기술대 김남경 총장의 결단만 남았다. 임기는 내년 2월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