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지역경제 타격
현장에서-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지역경제 타격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21.01.06 15:22
  • 15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찬/제2사회부 국장(의령·함안)
김영찬/제2사회부 국장(의령·함안)-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지역경제 타격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인한 지역경제 타격 최소화를 위해 지자체들은 두 팔을 걷고 나서고 있다. 위축된 지역상권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모두가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면서 기업체 및 소상공인, 전통시장 등 지역경제 전반에 걸쳐 침체 우려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한 철저한 방역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사태 이후 사람들은 환경을 존중하는 삶을 살고, 도시보다 농촌이 각광받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런 희망과 달리 당장 코로나19로 농촌이 겪는 시름은 생각보다 크다.

농사가 잘돼야 지역경제에 훈풍이 분다는 건 옛말이 됐다. 이제는 공공부문에 돈이 풀려야 지역경제가 살아나는 구조가 정착됐다. 군 단위에선 공공이 주도하는 공급과 수요 사슬이 지역경제의 여러 부분을 장악하고 있다. 게다가 공공부문은 사업자 선정, 홍보, 규제 등과 같이 수치로 표현되지 않은 권한까지 갖고 있어 영향력이 매우 크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공공이 주도하는 농촌경제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준다. 사회적 경제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활동도 크게 움츠러들었다. 공공이 제공하는 각종 교육·문화 프로그램 등이 중단되면서 지역경제의 손실도 만만치 않았다.

그나마 숨을 쉴 수 있었던 것은 그동안 확대된 복지정책과 직접지원비 덕분이었다. 고령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농촌에서 매월 지급되는 기초연금과 이런저런 명목으로 지원되는 현금은 단비 같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농촌정책에도 새로운 표준(뉴노멀)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새로운 표준을 만드는 것은 그동안 소홀했던 정책의 기본 목표를 다시 살펴보고 잘못된 정책을 고치는 일이다.

그동안 공공자금을 마중물 삼아 사업을 일으키고,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면 민간경제를 활성화하려는 노력이 많았다. 하지만 기대했던 효과는 작았고 마중물은 또 다른 마중물을 요구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코로나 19 사태는 공공의 힘으로 농촌경제를 부양하는 것이 오히려 농촌의 체질을 약화하고 지속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코로나19 이후 농촌정책은 농촌의 잠재력에 기대 공공재를 공급해야 한다. 살기 편하면서 안전한 곳, 자연과 환경이 살아 있는 곳,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이 이뤄지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농촌을 가꾼다는 개념으로, 없는 시설을 대규모로 공급하기보다는 기존 자연에 섬세한 손길을 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농촌이란 무대를 정비하되 공공이 무대 위 배우의 역할까지 하는 것은 가급적 삼가야 할 일이다.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있듯이 코로나19 사태가 지속가능한 농촌을 만드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코로나19 여파로 음식점 등 소상공인들의 매출이 급감하고 지역경제가 크게 위축되는 상황인 가운데 함안 의령군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두 팔을 걷었다. 불안을 해소하고 무너진 소비심리를 되살리기 위해서다.

군 관계자들은“군민들께서도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평소와 같이 경제활동을 해 주시되,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 위생수칙을 철저히 지켜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하고 있다. 별은 바라보는 자에게 빛을 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