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열며-제2외국어
아침을 열며-제2외국어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21.03.01 14:31
  • 14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수정/창원대 대학원장·철학자

이수정/창원대 대학원장·철학자-제2외국어


얼마 전 EBS뉴스를 통해 ‘제2외국어 고사 위기’라는 소식을 접했다. ‘내년이 되면 서울에 남는 프랑스어 정규교사는 단 한 명뿐’이라니 ‘고사 위기’라는 말도 과장이 아니다. 독일어도 아마 비슷한 사정일 것이다. 중국어와 일본어, 특히 중국어는 사정이 좀 나은 모양이다. 중일이 우리의 바로 이웃이고 강국임을 생각하면 중일 편중은 이상할 것도 없다. 그러나 독어와 불어가 우리 곁에서 멀어진다는 것은 별문제다.

우리 세대(50년대생, 70년대 학번)가 고등학생이었던 70년대 초는 거의 대부분의 학교에서 독어와 불어를 제2외국어로 가르쳤다. 선생님에게 꿀밤을 맞아가면서 ‘der, des dem, den…’을 외우던 아련한 추억이 있다. 2학년 때는 어설픈 실력으로 다짜고짜 ‘황태자의 첫사랑(Die Geschichte von alt Heidelberg)’을 독일어 원문으로 읽기도 했다. 내가 훗날 교수가 된 후, 모처럼의 연구년을 하필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보내게 된 데는 그 시절 읽었던 그 소설이 크게 작용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 소설이 배경이 하이델베르크였다. 꼭 로맨틱 가도를 가지 않더라도 우리 세대에게는 독일 그 자체가 곧 낭만이었고 꿈이었다. 헤세, 괴테, 칸트, 헤겔, 베토벤, 슈베르트...아니, 데미안, 싱클레어, 베르테르, 로테...그런 이름들이 우리에게 홍길동이나 춘향이 못지않게 친근했던 것은 고등학교에서의 독일어 교육과 결코 무관하지 않았다. 불어를 선택한 친구들은 잘난 척 ‘세 라 비’(이것이 삶이다)니 ‘끄 세 즈’(나는 무엇을 아는가)니 ‘즈 빵세, 동끄 즈 스위’(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니 하는 말을 입에 담았고, 설레며 쓴 연애편지의 끝줄에는 ‘즈 뗌므’(너를 사랑해)를 하트와 함께 써넣기도 했다. 모르긴 해도 윤정희나 정명훈이나 홍세화 같은 분들이 프랑스에서 삶의 일부를 보낸 것도 프랑스어 교육과 전혀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언어는 한 나라 내지 민족을 대표하는 요소다. 독어와 불어는 당연히 독일과 프랑스와 연결된다. 그 위상 내지 영향력도 반영한다. 이 언어들이 대륙의 반대편인 이 머나먼 한국에서 짧지 않은 세월 학생들에게 가르쳐졌다는 것도 그 때문이다. 최근 한국어가 동남아는 물론 아랍과 인도에서까지 제2외국어로 채택된 것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이제 한국에서 불어와 독어가 퇴출되는 것은 이 나라들의 위상과 영향력이 사라졌다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이들은 결코 만만한 나라들이 아니다. 물론 한국 중국 호주 인도 등이 부상하면서 이들의 위상이 상대적으로 예전만 못한 것은 부인할 수 없으나, 그렇다고 이들이 퇴조한 것은 아니다. 이들은 여전히 유럽의 양대 핵심축이고 유럽은 세계의 한 핵심축이다. 브렉시트 이후 더욱 그렇다. 정치와 경제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특히 학문과 문화 방면에서의 실력은 그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데카르트와 칸트는 아직도 죽지 않았고 헤세와 생텍쥐페리도 아직 죽지 않았으며 르누아르와 베토벤도 아직 죽지 않았다. 독어와 불어를 폐기한다는 것은 이 나라들에 대한 관심을 버린다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것은 크나큰 손실이다. 프랑스와 독일은 그동안 얼마나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우리들의 삶을 풍요롭게 해왔던가. 그 상실을 생각해보자. 너무나 아까운 노릇이다.

우리가 저들을 멀리한다면 저들도 우리에게 거리를 느낄 수밖에 없다. 조심스럽지만 나는 일본의 경우와 우리의 경우를 비교해본다. 나는 일본에서 20대와 30대의 10년을 살았다. 일본은 저 근대 초, ‘탈아입구’(脫亞入歐, 아시아를 벗어나 유럽에 들어가자)를 외친 후쿠자와 유키치 이래 스스로를 유럽의 일부로 자처했고 그것이 일본의 발전을 견인했다. 유럽, 특히 독일과 프랑스에 대한 저들의 관심은 예사롭지 않다. 그것은 일본에 대한 유럽의 관심과 애정으로 화답 받았다. 평가와 인정도 뒤따랐다. 유럽여행을 했거나 거기서 살아본 사람들은 아마 피부로 느꼈을 것이다. 일본에 대한 저들의 호의와 평가가 어떠한지를.

유럽철학, 특히 독일철학을 전공한 나는 저들의 위력을 누구 못지않게 잘 안다. 그것은 2000 수백 년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유럽은 오늘날 세계를 호령하는 미국의 뿌리이기도 하다. 그런 전통은 하루 이틀에 이루어진 것도 아니고 하루 이틀에 사라질 것도 아니다.


우리가 저들을 멀리하는 것은 푸대접이다. 그러면 저들도 우리를 멀리할 수밖에 없다. 그게 이치고 인지상정이다. 잃고 난 후에 후회해본들 이미 늦다. 미국이 모든 것을 압도하는 편중을 보완하기 위한 균형으로서도 우리는 유럽을 우리 곁에 머물게 할 필요가 있다. 제2외국어는 그런 우호적 관계의 한 상징이다. 고등학교의 교실에서 다시 ‘der, des, dem, den...’과 ‘Mon, ma, mes; ton, ta, tes; son, sa, ses’라는 소리가 들려오기를 기대한다. 교육부 장관께 이 글이 가닿으면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