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딜
빅딜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4.11.20 16: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태수/서양화가·경상대 건축학과 출강

박근혜 정부가 시작 된지가 1년하고도 반이 조금 지났다. 일본과는 외교적으로만 본다면 아직 정상회담 한번 없었고 중국과는 5번 이상의 만남과 회담이 있었다. 굳이 외형적으로만 본다면 일본과는 임시적 외교 단절인 셈이다. 내용적으로는 역사에 대한 반성이 없는 국가와는 대화를 하지 않겠다는 말인데 이에 개인적으로는 찬성에 한 표를 던진다. 한 국가가 저지른 만행이나 잘못에 대해 끝까지 반성하지 않은 대표적인 나라가 이웃해 있는 일본인데 인명 살상은 물론이고 훔쳐간 문화재마저도 모르쇠로 일관한다. 가까운 곳에 같이 산다는 것도 부끄럽지만 그들의 죄악을 되려 미화하는 뻔뻔함이 더욱 우리들 마음을 분노하게 만든다.


1965년 한일협정 당시에 우리 정부는 오쿠라가 불법으로 가져간 문화재와 유물을 돌려 줄 것을 강력히 요구 했지만 일본 정부는 개인 사유 재산이라는 명목을 내세워 반환 하지 않았고 사 후 그의 아들은 도쿄 국립 박물관에 오쿠라 콜렉션이란 이름으로 기증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한일 협정으로 인해 모든 것이 해결 되었다고 하여 문화재를 돌려주지 않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문화재 환수 운동은 없거나 아주 소극적이다. 그러나 국민들이나 시민들 스스로 단체를 만들어서 문화재 환수운동을 벌이는 곳은 많다. 이미 언론에 많이 노출된 혜문 스님이 주축이 되어 벌이는 ‘문화재 제자리 찾기’나 이 지역 진주에서 2009년에 발족하여 회원수가 500여명이나 되는 ‘연지사종 환수 국민 행동’ 등은 그동안에도 꾸준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그밖에도 진주 불교 사암 연합회와 경상남도 향토사 연구회, 해인사, 해당 지자체와 문화재청도 직, 간접적으로 이들과 함께 뜻을 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 가장 활발히 문화재 환수를 위해 노력하는 ‘연지사종 환수 국민행동’은 몇 차례의 학술대회((제1차 연지사 종의 문화적 가치 재조명과 역사적 고찰, 제2차 진주 연지사 터(地)와 종(鐘)의 역사적 고찰)) 개최와 함께 시민 켐페인, 약탈 문화재 환수를 위한 시민 단체의 전략과 방안, 임진 계사 진주성 전투 희생 호국 영령 합동 위령제 및 연지사종 환수를 위한 대법회, 일본 속의 문화기행 등을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그 취지를 잘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재 환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근본 이유는 무엇인지 이 시점에서 새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연지사종은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어 쓰루가시의 상궁신사 창고에서 잘(?) 보관 되어 있다. 비교적 상태는 괜찮은 편이나 당장 진주시가 종(鐘)을 돌려받는다 해도 우리 또한 진주 박물관 수장고나 창고 밖에 둘 수가 없는 처지에 놓인다.

연지사 종(서기 833년-흥덕왕)은 통일 신라 시대 종 가운데 '성덕대왕 신종(서기 771년-혜공왕)‘ ’상원사 종(서기 725년-성덕왕)‘에 이어 세 번째로 클 뿐 아니라 종에 새겨진 양각 또한 예술성이 뛰어난 수작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1,181년이라는 긴 외유를 떠나 있다가 고국의 품으로 돌아 올 날을 기다리지만 말고 맞을 준비도 함께 해야 할 필요도 있다.

마지막으로 당부 하고자 하는 말은 문화재 환수에 대한 모든 것을 시민단체의 노력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정부에서도 더욱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일본은 현재 우리 정부와 단 한 번의 정상 회담도 하지를 못했다. 이는 두 나라의 국익에도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미래 지향적 관계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박근혜 정부는 이 기회에 문화재 환수를 조건으로 한 정상 회담 건을 ‘빅딜’로 내세워 부딪혀 보기를 바란다. 최소한의 환수 조건으로는 도쿄 박물관에 있는 ’오쿠라 콜렉션‘이라는 생각으로 실무진들이 자리를 만들어 정상회담을 개최하게 되면 이를 계기로 양국 간 품은 응어리가 조금 이나마 풀리는 단초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일본인들에 의해 임진왜란 때와 일제 강점기에 돌아가신 분들이 얼마나 많은가. 진주에서만도 임난 때 7만 여명의 시민과 사병들이 비명에 돌아가셨다. 억울하게 돌아가신 국민들의 수만큼이라도 문화재를 돌려받고 싶다. 이렇게라도 설득하기를 바란다. 이는 한일 협정과 아무런 연관이 없으며 서로에게도 이익이 되는 협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