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을 훼손한 만큼 재앙과 가까워진다
자연을 훼손한 만큼 재앙과 가까워진다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5.04.08 16: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류재주/환경부 환경교육홍보단ㆍ경남환경연구원장

 
일찍이 위대한 사상가 루소는 “자연으로 돌아가라” 고 말한 바 있고, 자연과학자이며 문학가인 괴테는 “인간이 자연에서 멀어진 만큼 병과 가까워진다” 고 하였다. 이는 숲과 우리 인간과의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숲은 기후를 완화하고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인류에 크게 이바지한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도시화·산업화에 따라 바쁜 일상을 보내야 하므로 만성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이 때 조용하고 깨끗한 숲에서 맑은 공기를 숨쉬고 계곡에서 요양하면 건강과 생활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 따라서 자연을 통한 건강 증진은 비교적 적은 투자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숲은 테르펜·음이온, 피톤치드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을 뿜어내 건강과 정서에 실질적으로 기여함과 동시에 심리적·미적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숲의 기능이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인간은 환경을 이루는 한 가지의 성분일 뿐, 환경을 지배하는 입장이 아니다. 하지만 인간은 그러한 자신들이 속해 있는 환경이란 더 큰 개체를 포함하여 다른 개체까지 파괴하고 오염시키고 있다. 어느새 부터인가 인간은 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기보다는 환경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나 지구에서 사람이 사는 대륙 가운데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숲을 인간은 아무렇지 않게 훼손하고 있다.

집합주택을 건설하는 대다수의 기업들이 단지 내 산림 휴양 장소를 함께 건설한다. 그만큼 휴양 기능은 현대 사회적으로 크게 요구되고 있는 기능이다. 울창한 숲은 풍요롭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며 마음의 안정을 가져오는 효과가 대단히 크다. 피톤치드라는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기 때문에 사람의 건강에 큰 효과가 있다. 도시 생활에서 오는 피로 회복과 휴식, 탈피 등의 이점을 준다.
최근 심각한 환경 문제 가운데 하나인 지구 온난화 현상의 바람직한 해결책으로 산림 자원의 극대화를 제시할 수 있다. 온실 효과 방지를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이거나 녹색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꿀 수 있다. 수목은 그늘과 수분의 증발을 통하여 성장이 왕성한 계절에만도 물을 토양으로부터 흡수하여 공기로 내뿜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산림은 지구를 식혀 주는 에어컨 역할을 한다.

높고 웅장한 산이나 깊고 어두운 숲 앞에 섰을 때 우리 가슴 속에서는 뭔가 특별한 일이 벌어지곤 한다. 새벽에 일어나 집 가까운 야산을 찾아갈 때나, 오랜만에 큰맘을 먹고 국립공원을 찾았을 때, 우리는 어렴풋이 커다란 숲이 다가오는 것을 보면서 야릇한 설레임과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숲은 어머니 태양과 자식인 지구를 연결해주는 탯줄과 같은 존재이다. 따라서 반딧불이의 엉덩이에 반짝이는 그 빛도 결국 따지고 보면 태양빛인 셈이다. 인류의 조상들이 태양을 숭배한 것처럼, 많은 부족들은 숲을 신성한 것으로 여겼다. 우리의 유전자 속에는 우리 생존의 근원인 태양과 우리를 이어주는 탯줄로서의 숲의 가치를 기억하고 회상하는 어떤 기억이 새겨져 있는지도 모른다.

자연의 일부분인 산과 숲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최근 들어 자연을 인간의 어떤 욕구를 채워주는 도구적 가치로만 한정하여 바라보는 관점이 점점 굳어지는 경향이 없지 않다. 자연은 우리의 욕구를 채워주는 도구에 불과한가? 인간은 자연을 좋아하고 찾도록 태어났는가? 인간은 자연에 대해 애정을 갖고 태어났는가? 이 세상에 인간 이외의 생물이 없었다면 인간은 외로움 때문에 죽었을 것이라는 말도 있다.
인간은 숲으로부터 생존에 필요한 많은 것을 얻는다. 그래서 숲에 의존적인 인간은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숲을 가꾸고 보호해야 한다.

숲은 나무와 풀이 합쳐서 된 말이다. 그러나 숲은 나무와 숲의 단순 합이 아니다. 그렇다고 그 속에 살고 있는 곤충이나 새, 나무의 뿌리가 묻혀 있는 땅, 나무 위로 내리쬐는 햇볕과 나뭇가지 사이를 스쳐가는 바람의 합 그 모든 것의 합도 아니다. 그것들은 그릇의 껍데기이다. 숲의 거죽이다. 숲에는 이미 내가 있다. 우리 인간을 인간이게 만드는 텅 빈 관계의 그물로 충만해 있다. 숲이 사라질 때 나무, 풀, 벌레, 바람, 햇빛만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모두가 사라지는 것이다.

최근 “진주의 주산 비봉산 생태숲 복원을 통하여 산을 살리자”는 환경단체들의 주창이 귀에 와 닿는다. 그 지역사회의 문화와 정신, 그리고 삶의 모든 것을 보듬어 준 주산을 생활의 편의를 위하여 마구 파헤쳐 훼손한다면 결국은 자연의 혜택이 아닌 자연의 재앙으로 되돌려 지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숲 앞에 갔을 때 설레고 두려운 것은 그 안에 바로 우리 자신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숲을 통해 우리 자신을 만나는 색다른 여행을 시작해 보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