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학과 한국학의 차이
국학과 한국학의 차이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5.04.16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진환/경남국학원 이사

국학의 일을 하다 보니 지인들로부터 국학이 무엇이며 한국학은 무엇이냐를 자주 질문 받는다. 국학과 한국학의 차이를 잘 모르는 일은 매우 한심한 일이다. 이는 국민정체성에 관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나는 국학자이고 국학인 이다 보니 이 질문을 들을 때가 가장 행복하다. 국학은 한마디로 우리의 근본이요 정체이다.

 
아득한 옛날에는 국학을 나라에서 정하고 가르쳤다. 태학이나 경당에서 조의선인, 무절(싸울 애비),화랑들이 국학을 배웠다. 국학에는 무예와 춤과 예절이 있었고 토론으로 추구하는 지향점이 같았다. 가장 쉽게 풀자면 국학은 홍익인간 정신이다. 지금 우리의 한류는 한마디로 홍익인간정신이 상품성으로 발전한 것이다.

앞으로 우리의 한류는 더욱 더 세계적으로 전파될 것이고 이는 국격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홍익인간정신은 우리 몸을 살펴보면 쉽게 이해된다. 우리 몸은 일체형이다. 머리 가슴, 다리와 이를 둘러싼 피부와 근육, 에너지를 돌게 하는 피, 5장6부 등등이 유기적으로 도움을 주는 관계에 있다. 따로 떼어놓으면 한시라도 존재할 수 없는 구조가 우리 몸이다, 뼈는 피를 만들어 내고 피는 근육에게 힘을 제공하고 뇌는 몸을 안전하게 이끌며 전체를 컨트롤한다.
 
서로가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유익이 되는 시스템, 이것이 바로 홍익시스템이요 건강한 몸이다. 몸에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현상을 율려라고 한다. 율려를 회복하면 무병장수할 수가 있다. 암(癌)은 병든 품질이 산더미처럼 있다는 뜻이고 이는 조화로움을 잃음으로써 생긴다. 조화롭다는 말을 줄여서 “좋다”고 말한다. 암은 이기심의 결정체다. 자기만 살아남으면 된다는 세포지만 그 암은 모체도 죽이고 자기도 그렇게 되는 줄을 모른다. 우리가 사회 속에서 이기심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다.
 
인간적 조화로움과 양심이 바른 시대가 바로 우리의 단군의 시대였다. 47대 2096년의 단군 시대에 국학이 융성하였고 국학으로 하나 되었던 우리는 동북아를 선도하였다, 정신지도국이었고 주변국들에게 수준 높은 우리의 문화를 전파하였던 것이다. 지금보다 무려 30배 이상의 광역이었던 단군조선이 무너져 내린 것은 바로 지도층의 분열과 국학의 포기 때문이었다. 그 벌어진 틈새로 외국의 종교, 사상들이 비집고 들어와서 민심을 흔들었다. 갈피를 잃은 백성들은 도륙당하고 끌려갔으며 정처 없이 떠돌게 되었다. 국학을 잃은 지가 약2천년이 되었다. 국학을 바로 세우는 일이 시급하다. 외국의 선진국은 절대 그들의 국학은 놓지 않는다. 아주 맑은 시간대인 아침10시경에 그들의 국학을 후학들에게 가르친다.

반면에 우리는 어떠한가. 영어, 수학에 빠져있다. 모두 다 미국인, 피타고라스로 만들 작정인가. 한심한 일이 더 이상 진행되어서는 곤란하다. 반면에 한국학은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우리 안에서 호흡하면서 우리 것 비슷하게 된 사상, 철학, 종교를 말한다. 자의건 타의건 들어오는 것은 들어왔다 치고 이것을 충분히 우리 것으로 다듬어야 하는데 그런 정제과정이 미흡하다보니 여러 가지 문제가 지금 발생하고 있다. 마치 원유를 정제하지 않고 그냥 쓰는 이치와 같은 것이다. 일본에서 들어온 종교가 있다,
 
만약에 일본군이 아베의 지시에 따라 우리나라를 침략한다면 그 종교를 믿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어떠한 자세를 취하겠는가, 과거 나당 연합군이 우리 고구려를 침략하기 직전 오두미 교를 전파한 일이 있다. 그 교를 믿는 이들은 스승의 나라를 칠 수 없다는 명분으로 전장에 나가지 않았다. 지도층의 분열과 국민정신의 피폐로 인해 900년 고구려는 그렇게 망해갔던 것이다. 외국에서 들어온 사상, 종교, 철학이 다 나쁘다는 말이 아니다. 즉 한국학이 다 나름대로 쓸모가 있다. 무지개가 아름다운 것은 7가지 색깔의 조화성이다.

그 조화성을 홍익의 철학은 충분히 담아내고 있다. 세계적인 골치 덩어리인 북한도 단군 할아버지만은 함부로 대하지 않는다. 통일시대에 우리가 가진 가장 큰 남북공통분모가 무엇이겠는가. 홍익인간의 접근방법은 통일담론에서도 단연 선두이다. 외국의 문화를 안고 이제 한국학은 갈수록 더 많이 우리에게 접근할 것이다. 그럴수록 원유를 정제하듯. 우리 정신에, 우리 몸에 맞추어서 그것들을 써야 한다. 우리주변의 4강 즉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이 우리는 보는 눈은 100년전 상황과 비슷하다. 이럴 때일수록 정신을 차려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