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남 근로자 2.9%↑ 60대 큰 폭 증가
지난해 경남 근로자 2.9%↑ 60대 큰 폭 증가
  • 배병일기자
  • 승인 2019.02.14 19:06
  • 10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퇴직자 감소…실업급여 수급자 사상 최대치

퇴직자 감소…실업급여 수급자 사상 최대치

경남 근로자 3년째 타지역으로 순유출 지속

지난해 경남지역 고용은 공공일자리와 서비스 업종의 60대이상 근로자 수의 큰 폭 증가에 힘입어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창원상공회의소(회장 한철수)가 고용정보원 고용보험DB를 바탕으로 ‘2018년 경상남도 고용동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8년 경남지역 고용보험에 가입한 상시근로자(이하 근로자) 수는 75만7117명으로 전년 대비 2만2278명(+2.9%) 증가했다고 밝혔다.

근로자 수 증가는 공공부문 일자리와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숙박음식·도소매·사업지원 서비스 근로자, 특히 60대 이상이 주도했다. 이는 재취업 시장에서도 같은 모습이다. 기대수명 증가로 일자리를 찾는 장년층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주된 요인이며, 이들은 많은 부분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등 공공 일자리에서 일거리를 찾은 것으로 보인다.

2018년 경남 제조업 중 근로자 수 비중이 가장 큰 ‘기타 운송장비’ 근로자 수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16년과 2017년 각각 15.2%, 23.4% 큰 폭으로 감소한 데이어 3년 연속 감소세다.

이 밖에도 ‘자동차 및 트레일러’(-2.9%),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5.5%), ‘1차 금속’(-3.2%),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1.2%), ‘비금속 광물제품’(-3.1%), ‘섬유제품’(-3.8%) 등 대부분의 제조업의 근로자 수가 감소했다.

제조업과 반대로 서비스업은 업종별로 대부분의 근로자 수가 증가했다. 가장 눈에 띠게 증가한 업종은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으로 전년 대비 47.1%로 증가했다. 이 밖에도 ‘보건업 및 사회복지’(+6.6%), ‘교육’(+11.3%) 등 공공부문 근로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정부 공공부문 일자리 사업에 따른 영향은 연령별 근로자 수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경남 연령별 근로자 수를 보면, 60대 근로자 수가 전년 대비 15.9% 오른 7만4120명, 70대는 16.3% 오른 1만2487명이다.

지난해 경남 취업자 수는 39만8036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 퇴직자 수는 37만2618명으로 6.5% 감소해, 2015년 이후 3년 만에 취득자 수가 상실자 수를 상회했다.

업종별 취업자 수도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큰 차이를 보였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13만7028명으로 전년 대비 13.9%로 4년 연속 감소했다. 퇴직자 수는 14만1853명으로 전년 대비 21.8%로 줄었다. 반대로 서비스업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3.4% 증가한 23만2069명, 퇴직자 수는 7.4% 증가한 20만2835명을 기록했다.

비교적 장기간, 양질의 일자리 성격이 강한 제조업의 취업과 퇴직 모두 감소하는 추세가 뚜렷하며, 경력직 재취업 또한 50대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감소한 모습이다. 이는 고용 유연성이 낮은 제조업의 특성 상 신규 고용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는 가운데, 경기침체에 따른 중장년층의 이직 성향도 크게 줄어든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경남의 퇴직자 수가 6.5% 감소했지만 실업급여 수급자 수는 처음으로 10만명을 넘어섰다. 2018년 경남 실업급여 수급자 수는 10만767명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50대 실업급여 수급자가 가장 많았고, 증가율은 40대가 가장 높았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과 건설업이 가장 많았다. 서비스업의 경우 전년 대비 4821명 증가했고, 건설업은 2966명 늘었다. 반면 3년 연속 증가를 보였던 제조업 실업급여 수급자 수는 전년 대비 6.4% 감소했다.

2018년 한 해 동안 경남에서 이직한 근로자 수는 36만1789명이다. 이 중 경남에서 경남 내로 이직한 피보험자는 26만2796명이며, 나머지는 부산시로 3만843명, 서울시 2만2513명, 경기도 1만2553명, 울산시 6250명, 경북도 5748명, 대구시 4192명 순으로 대부분 인근 광역단체와 수도권으로 이동했다.

반대로 경남으로 이직한 피보험자(이직) 수는 35만2453명이며, 경남 내로 26만2796명이 이직했고, 나머지는 부산시(2만9859명), 서울시(2만3796명), 경기도(9027명), 울산광역시(6240명) 등 8만9657명은 타 지역으로부터 이동해 왔다.

경남에서 타 지역으로 유출된 근로자 수와 경남으로 유입된 근로자 수의 차이(순유출입)를 살펴보면, 2016년 이후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추세가 변화했다. 경남이 2016년 이후 3년째 일자리를 찾아드는 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지역으로 변화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2018년의 경우 경기도로 3526명, 전라남도 1239명, 충청남도 1187명, 부산시 984명 순으로 순유출 했으며, 순유입이 이루어진 지역은 서울시가 유일했다.

창원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경남 제조업의 성장둔화로 3년째 근로자의 순유출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하며, “제조업 숙련인력 재취업 지원, 대규모 사업장 고용 모니터링 등 기존 경기악화로 인한 자연 일자리 감소분을 최대한 지역 내에서 소화할 수 있도록 돕는 일자리 전환 산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병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